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연금 수령금액에 따른 세금계산 방식이 궁금하신가요? 사적연금과 공적연금을 동시에 받으실때도 궁금하시죠? 세금계산 어렵지 않아요!

     

    사적연금과 공적연금을 동시에 받으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예시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수령 금액별 세금계산 방법

    사적연금과 공적연금, 무엇이 다를까요?

    두 연금은 모두 은퇴 후 소득 보장을 위해 마련된 제도지만, 성격과 과세 방식에서 차이가 있어요.

    • 공적연금: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 국가가 운영하는 연금
    • 사적연금: 연금저축보험, 연금펀드 등 개인이 가입한 금융상품 기반의 연금

    많은 분들이 두 가지를 함께 수령하게 되며, 이 경우 각각의 과세 기준이 따로 적용됩니다.

    각각의 연금에 대해서 좀더 궁금하신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사적연금 수령금액 세금계산 방법, 사적연금소득

    사적연금은 세금을 얼마나 낼까? 공적연금과 똑같은가? 이런 궁금증 많이 가지셨을텐데요'세금계산' 은 뭔가 어렵게 생각되시겠지만 사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사적연금 수령금액에 따른 세금

    mandru.lion-saja.com

     

    공적연금 수령금액 세금계산 방법, 공적연금소득

    공적연금은 세금을 내는걸까? 얼마나 내는거지? 이런궁금증 많이 가지셨을텐데요 '세금계산' 이라고 하면 뭔가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공적연금 수령금액 예시를 통해 세

    mandru.lion-saja.com

    공적연금과 사적연금, 세금 기준은 따로 적용돼요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각 연금별 과세 기준입니다. 연간 수령액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달라지며, 아래 기준이 적용돼요.

    • 공적연금: 연간 수령액 1,200만 원 초과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사적연금: 연간 수령액 1,800만 원 초과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각각의 연금은 별도로 판단되어 과세됩니다

    즉, 공적연금이 1,100만 원, 사적연금이 1,700만 원이면 모두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에요. 그러나 둘 중 하나라도 기준을 초과하면 해당 연금은 종합과세 대상이 되는 거죠.

     

    연금소득공제, 이렇게 적용돼요

    실제로 세금을 계산할 때는 연금소득공제가 적용돼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어요.

    연금 종류별 공제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적연금 소득공제]

    • 350만 원 이하: 전액 공제
    • 350~700만 원 이하: 350만 원 + 초과분의 40%
    • 700~1,400만 원 이하: 490만 원 + 초과분의 20%
    • 1,400만 원 초과: 630만 원 + 초과분의 10% (최대 900만 원)

    [사적연금 소득공제] (사적연금에도 동일 구조 적용)

    • 최대 900만 원 한도
    • 종합과세 대상이 된 경우에만 해당

    사례로 보는 연금 세금 계산

    예시①: 공적연금 1,100만 원 + 사적연금 1,500만 원

    • 공적연금은 1,200만 원 이하 → 종합과세 X
    • 사적연금은 1,800만 원 이하 → 분리과세 선택 가능
    • 결과: 종합소득세 신고 없이 분리과세로 해결 가능

    예시②: 공적연금 1,400만 원 + 사적연금 1,900만 원

    • 공적연금은 1,200만 원 초과 → 종합과세 대상
    • 사적연금도 1,800만 원 초과 → 종합과세 대상
    • 연금소득공제 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율(6~45%) 적용

    예시③: 공적연금 1,100만 원 + 사적연금 1,900만 원

    • 공적연금은 1,200만 원 이하 → 종합과세 X
    • 사적연금은 1,800만 원 초과 → 종합과세 대상
    • 결과: 사적연금만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공적연금은 과세 제외)
    •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6~45% 세율 적용 가능성 있음

    공적연금은 과세되지 않지만, 사적연금 수령액이 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에 사적연금에 대해서는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수입니다. 이처럼 둘 중 하나만 기준을 초과해도 종합소득세 의무가 생길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소득세 절세 전략은?

    • 연금 수령 시기 조정: 연간 수령액을 조절하여 분리과세 구간에 머물도록
    • 연금 수령 분산: 배우자 또는 가족 연금 활용하여 한 사람에게 몰리지 않도록
    • 세무 상담: 종합과세 대상자라면 세무관련 전문가의 전략 필요

    연금은 내 노후를 위한 중요한 수입원이지만, 세금까지 고려해야 더욱 현명하겠죠?

    지금부터라도 내 연금 구조를 꼼꼼히 체크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