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매년 7월과 9월이 되면 재산세 납부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도대체 재산세가 뭐길래?” “왜 내가 내야 하는 거지?”라는 의문이 드시거나 납부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이 글에서 재산세의 모든 것을 알려드릴게요!

     

    납부기한을 넘기면 가산금을 내야하니 여러분도 지금바로 온라인으로 납부해 보세요!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 절세팁과 납부방법

    재산세란 무엇이고, 누가 내나요?

    재산세는 주택, 토지, 건축물 등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재산세를 내야 해요.

     

    예를 들어, 6월 1일에 집을 소유하고 있다면 그해 재산세 대상이 되지만, 6월 2일 이후에 매입했다면 해당 연도는 면제됩니다.

    재산세 과세 대상

    • 주택 (아파트, 단독주택 등)
    • 건축물 (상가, 오피스텔 등)
    • 토지 (개별공시지가 기준)
    • 선박 및 항공기

    이 자산들을 소유하고 있다면,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 재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계산과 납부 방법

    재산세는 어떻게 계산되고, 언제 내야 할까요?

    재산세 계산 공식

    재산세는 아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재산세 = 과세표준 × 세율

    • 과세표준: 시가표준액(주택공시가격, 개별공시지가 등) × 공정시장가액비율
      • 3억원 이하: 43%
      • 3억원 초과~6억원 이하: 44%
      • 6억원 초과: 45%
    • 세율: 자산 종류와 금액에 따라 0.1~4% 차등 적용

    계산이 복잡하다면, 서울시 ETAX에서 ‘지방세 미리 계산’ 서비스로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부 시기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 나눠 납부합니다:

    • 7월 16일~31일: 주택분의 50%, 건축물, 선박, 항공기
    • 9월 16일~30일: 주택분의 50%, 토지

    단, 주택 재산세가 20만원 이하라면 7월에 일괄 납부합니다. 기한을 넘기면 3% 가산금이 부과되니, 꼭 기한 내 납부하세요!

    납부 방법

    • 온라인 납부: 위택스, 서울시 ETAX, STAX 앱, 또는 KB스타뱅킹 앱
    • 은행·ATM 납부: 가까운 은행 창구, ATM, 편의점
    • ARS 전화 납부: 고지서에 안내된 ARS 번호로 전화

     

    필요: 절세 혜택과 꿀팁

    재산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몇 가지 절세 혜택과 팁을 소개합니다.

    감면 혜택

    • 1세대 1주택자 세율 감면 특례
      • 대상: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을 3년 이상 보유 또는 거주한 1세대 1주택자
      • 혜택: 특례 세율(0.05~0.3%)로 최대 50% 감면 (2026년 12월 31일까지)
    • 주택연금 가입자
      • 대상: 주택연금 가입자(공시가격 5억원 이하 주택)
      • 혜택: 주택분 재산세 25% 감면 (2027년 12월 31일까지)
    • 임대 사업자
      • 대상: 전용면적 40㎡ 이하 공동주택·오피스텔 임대 사업자
      • 혜택: 재산세 전액 면제 또는 85% 경감

    절세 꿀팁

    • 6월 1일 기준 활용: 집을 5월 말 전에 팔거나 6월 2일 이후에 사면 그해 재산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 공동명의 합산 납부: 부부 공동명의라면 한 명의 카드로 납부해 카드 혜택(캐시백, 소득공제)을 극대화하세요.

    2025년 바뀌는 재산세 정책

    2025년 재산세는 1주택자와 지역 기업을 위한 혜택이 강화됩니다.

    • 1주택자 공정시장가액비율 특례 연장: 공시가격 3억원 이하 43%, 3~6억원 44%, 6억원 초과 45% 적용.
    • 인구감소지역 기업 지원: 해남·영암, 태안 등 기업도시 내 산업용 토지 재산세 0.2% 단일 세율, 종합부동산세 비과세 (2025~2029년).
    • 비과세 명확화: 철거 예정 건축물·주택의 비과세 요건 명확화로 분쟁 감소.

    지금 바로 납부 준비하세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부과되며, 7월과 9월에 나눠 납부합니다. 감면 혜택과 절세 팁을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지금 서울시 ETAX에서 예상 세액을 확인하고, 기한 내 납부해 가산금 걱정을 덜어보세요!

    반응형